청년 정규직 전환, 2025년엔 이렇게 지원받습니다
2025년 기준, 청년을 정규직으로 채용하는 기업이라면 반드시 확인해야 할 제도가 있습니다.
바로 고용노동부가 운영하는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입니다.
많은 분들이 ‘청년 정규직 전환 지원금’이라는 이름으로 알고 있지만, 2025년 현재 공식 제도명은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이며, 오직 기업 대상 인건비 지원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정규직 전환? 아니고 정규직 신규 채용입니다.
먼저 주의하셔야 할 점이 있습니다.
2025년에는 과거에 있었던 ‘정규직 전환 지원금’(비정규직 → 정규직)이 폐지되었습니다.
현재 지원받을 수 있는 제도는 청년을 정규직으로 신규 채용했을 때 제공되는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뿐입니다.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핵심 요건
이 제도는 청년을 정규직으로 신규 채용하고 6개월 이상 고용을 유지한 기업에 대해 고용노동부가 최대 720만 원까지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청년 개인에게 직접 지급되는 인센티브는 없으며, 전액 기업 지원금입니다.
지원 대상은 아래와 같습니다.
**청년 요건**
· 만 15세~34세 이하
· 고용보험 미가입 상태였던 실업 청년
· 정규직 채용 + 4대 보험 가입 + 주 30시간 이상 근무
**기업 요건**
· 5인 이상 중소·중견기업(일부 업종은 예외 가능)
· 고용노동부 참여기업 등록 필수
· 청년을 신규 정규직으로 채용해야 함
**공식 지원 금액**
구분 지원 대상 최대 지원 금액 조건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 기업 | 1인당 최대 720만 원 | 정규직 채용 후 6개월~12개월 이상 고용 유지 |
※ 청년 개인에게 직접 지급되는 인센티브는 없습니다.
※ 청년내일채움공제 등과 중복 여부는 사전 확인 필요
**신청 방법**
1. 기업이 고용노동부 ‘참여기업’으로 등록
2. 청년 정규직 채용 및 고용 유지
3. 분기별로 고용센터 또는 고용24에서 신청
4. 서류 심사 후 지원금 지급
**주의할 점**
- 청년을 기존 계약직에서 정규직으로 전환한 경우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 중도 퇴사나 근무 조건 미충족 시 지원금이 지급되지 않거나 회수될 수 있습니다.
- ‘청년 정규직 전환 지원금’이라는 명칭은 2025년 현재 존재하지 않으며, 해당 제도는 종료되었습니다
2025년 기준, 청년을 정규직으로 신규 채용한 기업은 고용노동부의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을 통해 최대 720만 원의 인건비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청년 개인에게 직접 인센티브가 지급되지는 않지만, 고용 유지와 정규직 채용을 유도하는 핵심 제도인 만큼, 참여기업 등록과 요건 확인은 반드시 선행되어야 합니다.